테스트

· 테스트
JMeter를 알아보기 전에 부하 테스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부하 테스트는 임계치 한계에 도달 할 때까지 시스템의 부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하는 테스트로 성능(Perfomance) 테스트의 하위 테스트이다 부하 테스트의 목적을 한번 더 상기시켜보자면 버퍼 오버플로우, 메모리 누수, 및 잘못된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의 결함을 노출한다 부하 테스팅의 결과로 발견되는 문제는 로드 밸런싱 문제, 대역폭 문제, 기존 시스템의 용량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베이스,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의 응용 프로그램의 모든 구성 요소의 상한을 결정한다 예상할 수 있는 어플에 대한 부하를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https://latewalk.tistory.c..
· 테스트
우리가 프로젝트를 제작하게 되면 가장 먼저 하게 되는 것이 바로 테스트이다. 하지만 우리가 하는 성능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하게 되는 것일까? 성능 테스트란 성능 테스트는 시스템 구성 요소가 특정 상황에서 어떤 성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테스트이다. 제품의 리소스 사용, 확장성 및 안정성도 해당 테스트들을 사용해서 검증할 수 있다 성능테스트는 기본적으로 매우 광범위하다. 다음 그림은 성능 테스트가 부하 및 스트레스 테스트 모두에 대한 상위 집합임을 보여준다. 때문에 대부분의 테스트를 진행할 때 부하 혹은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다 부하 테스트 부하 테스트는 성능(Perfomance)의 하위 집합으로, 임계치 한계에 도달 할 때까지 시스템의 부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 테스트
1. 처리량(Transaction Per Second) 클라이언트의 요청부터 결과까지 걸리는 총 시간을 말하고 이것을 TPS로 나타낸다. 2. 응답 시간(Response Time) 총 TPS의 시간은 응답 시간의 관점으로 봤을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응답 시간은 아래의 두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처리 시간(Processing Time) : 실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데 걸린 시간 대기 시간(Latency Time)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걸린 시간 TPS를 높이는 법 그렇다면 우리의 목표는 TPS를 높이는 것인데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서버를 늘린다. 단순히 서버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TPS는 비례하여 증가할 것이다. 쓰레드 풀과 DB 커넥션 풀을 늘리는 것이다. 쓰레드 풀 ..
늦은산책
'테스트'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