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ute 53이 뭘까?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이다.
그렇다면 도메인이 뭔지 가볍게 알아보자면 www.naver.com, www.google.com 과 같이 문자로 표현된 주소를 말한다.
조금 더 깊이 알아보면 Route 53은 정확히 말하자면 DNS 서비스이다
DNS란?
도메인이 없던 시절 특정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서 IP주소를 사용했다. 이 IP는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IP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람이 일일히 하나씩 외우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웠고 이를 쉽게 기억하기 위해 문자로 주소를 나타냈지만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값의 형태는 여전히 숫자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방법이 필요했다
그 방법이 바로 하나의 시스템(서버)를 만드는 것이였다. 이것이 DNS인데 DNS는 IP주소를 따로 저장하고 문자로 된 도메인 주소를 각 층으로 분류할 수 있게 만들어 실제 IP주소가 저장된 DNS를 찾아갈수 있도록 하였다
현업에서의 Route 53
일반적으로 웹 통신을 할때 IP보다는 도메인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이유는 HTTPS의 적용 때문이다. IP주소에는 HTTPS 적용을 할 수가 없다. 즉, 도메인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DNS를 지원하는 것은 AWS의 Route 53뿐만이 아닌 가비아도 존재한다. 혹여 내가 원하는 형태의 도메인이 Route 53에는 없는데 가비아에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 Route 53을 통한 도메인 등록 그리고 무료 등록(내도메인.한국)
1. 도메인 구매
Route 53 대시보드로 들어가서 도메인 등록을 누른다
2. 구매할 도메인을 선택
이런식으로 이름을 원하는 것으로 작성하면 밑에 가격표와 추천을 해준다. 이중 내가 원하는 도메인을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
3. 기간 산정, 결제
이렇게 기간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른 가격을 정할수 있고 도메인은 몇시간, 사용량 이런것이 아니라 그냥 기간제로 돈을 내기때문에 잠깐만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돈을 내야한다.
참고로 나는 구매하지 않았다. 테스트를 위해 돈을 사용한다는 것이 아까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을 밑에서 또 다뤄보겠다
4. EC2에 연결하기
구매를 완료하면 저런식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결을 위해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그럼 이런식으로 등록을 할 수 있고 우리가 탄력적으로 설정해준 IP를 값으로 넣어주면 된다.
레코드 이름란에 무언가를 적어준다면 www.jscode-edu.link 이런식으로 입력을 하면 해당 서버로 요청이 간다는 뜻이다.
레코드 이름의 값을 바꿔서 계속해서 등록이 가능한데 메인 도메인을 두고 밑에 서브로 여러개 둔다고 생각하면 된다
레코드 유형
- A 레코드
- 도메인을 특정 IPv4주소에 연결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레코드 유형이다
- CNAME 레코드
- 도메인을 특정한 도메인 주소에 연결시키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 만약 CNAME 레코드의 값으로 www.naver.com을 적었다고 가정한다면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했을때 www.naver.com으로 연결되면서 이동된다.
무료 도메인 등록 방법
테스트를 위해서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것으로 생각한다 사실 Route 53을 사용하기에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도 아닌데 덜컥 사버리기에는 너무...찝찝하다. 아깝기도하고....여하튼 그래서 무료로 등록하는 방법도 있다
(내도메인.한국) 이쪽으로 들어가면 도메인을 손쉽게 무료로 등록할 수 있다.
1. 로그인
회원가입과 로그인은 해주어야한다
2. 원하는 도메인 이름 입력
3. 원하는 도메인 선택
등록 불가는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4. 도메인 등록하기 클릭
화면이 이렇게 제공된다. 사실 다른것은 크게 볼 필요없고 결국 고급 설정의 A와 CNAME만 또 보이게 된다
여기서 우리가 할 것은 Route 53에서 했던 A를 이용한 연결이다. 거기에 우리의 탄력적IP를 입력하면 된다
5. 결과
이렇게 나의 도메인이 등록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장점은 너무나도 간단하게 등록할 수 있고 여러번 연습한다고 하더라도 일체 금액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점은 무료 도메인은 불안정하고 도메인 주소이름이 이상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실제 서비스를 이용할때나 중요하지 우리가 지금 도메인을 등록만 하고 실제로 그것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만 보는 것이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하지만 나중에 실제로 서비스를 등록하거나 운영해보고 싶을때는 1년에 2만원이 안되는 돈은 한번쯤 내볼만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보안과 안심을 위해서 말이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3 사용해보기(1부) (1) | 2024.06.08 |
---|---|
AWS를 위해 S3를 Spring에 연동하기 (1) | 2024.06.08 |
🗃 VPC를 활용해서 RDS를 연결해보자 (0) | 2024.06.07 |
🗃 ELB를 통해 HTTPS 설정하기 (0) | 2024.06.06 |
🗃 배포, 그리고 EC2 만들어보기 (1)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