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계층말고 또??
이전 블로그에서는 네트워크 전송 시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것이 OSI 7계층이라는 말을 했다. 이것은 이론과도 같은 말인데 이 이론을 현대 인터넷 표준에 맞춰 재설정된것이 TCP/IP 4계층이다. 굳이 나누지 않아도 되는 층을 단순하게 합치고 중요하게 다뤄야하는 층만을 나누어 확인한다.
그렇다면 간단하게 어떤 층이 생략되고 어떻게 이름이 변경되었는지 알아보자
🎞 TCP/IP 4계층
1. Network Layer
- OSI 에서 물리와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놓은 곳이다
- Node - to - Node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 기존의 데이터 링크의 역할인 MAC주소를 핸들링 할 뿐아니라, 물리의 역할인 데이터 패킷을 전기신호로 변화하여 선로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게 한다
2. Internet Layer
- OSI에서 네트워크 계층이 인터넷 계층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IP를 담당하고 있고 데이터의 원천지와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담는다.
- IP는 복잡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데이터의 작은 조각들을 되도록 빨리 보내는 일을 한다.
- 패킷의 전달 여부를 보증하기보다, 경로를 설정하고 최대한 빠르게 보내는 것이 목표다
프로토콜 | 내용 |
IP | 비연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신지와 목적지까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한다 |
ICMP | IP제어와 메세지 기능을 담당한다 |
ARP | IP주소를 이용해서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요청 : 브로드캐스트, 응답 : 유니캐스트) |
RARP | MAC주소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온다. (요청 : 브로드캐스트, 응답 : 유니캐스트) |
3. Transprot Layer
- OSI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층이다
- TCP 와 UDP를 담당한다.
-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한다
- 순서가 맞지 않거나 중간에 빠진 부분을 점검하여 다시 요청을 한다.
4. Application Layer
- OSI에서 나머지 계층을 하나로 친다.
- 서버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이 계층에서 동작한다
프로토콜 | 내용 |
DNS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해당 IP 주소로 변화시켜주는 서비스 |
SNMP | 네트워크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프로토콜 |
FTP | TCP 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FTP | UDP 환경에서 파일전송 프로토콜 |
HTTP | 웹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CS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SI 7계층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0) | 2024.05.27 |
---|---|
🖥 웹 동작 방식 (0) | 2024.05.27 |
🖥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2) | 2023.09.26 |
🖥 HTTP 와 HTTPS (0) | 2023.09.25 |
🖥 지연(Delay)과 손실(Loss) - 처리, 큐잉, 전송, 전파 지연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