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ful API
RESTful API 를 지향하는 프로젝트는 상당수로 많다.그렇다면 RESTful API 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우선 RESTful API를 하나씩 뜯어서 알아보자
1. API 정의
API는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통합하기 위한 정의 및 프로토콜 세트로도 볼수 있습니다. API를 사용하면 특정 소프트웨어의 구현 방식을 알지 못하더라도 제품 또는 서비스가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개발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비유를 해보자
우리가 손님인 버전
가게에 들어갔는데 점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셰프가 저를 반기지도 않네요? 그럼 저는 가게에 멀뚱멀뚱 앉아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셰프인 버전
오늘 저의 가게 준비는 완벽합니다. 재료도 완벽하고 메뉴도 완벽하고 모든것이 완벽합니다. 자! 이제 손님이 들어왔습니다. 근데 저는 밖으로 나갈수가 없어요… 어떡하죠??
자 이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뭘까요? 간단합니다. 홀에서 일할 점원을 구하는거죠 그럼 그 점원은 무슨 일을 할까요? 점원은 셰프가 만들수있는 메뉴가 담겨있는 메뉴판을 가져다 줄수 있고 손님이 메뉴를 주문하면 어떤 메뉴를 주문 했는지 알려줄수 있습니다. 심지어 셰프가 음식을 완료하면 전달까지 가능하죠
이게 바로 API 입니다. 역할극에서 봤던 사람들은 실제 어떤 역할일까요?
손님 = 프로그램
주문 = 요청(명령) 목록
셰프 = 응용프로그램
완성된 요리 = 요청(명령)에 의한 결과값
▶ API 의 역할
- API는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출입구 역할을 한다 DB 에는 많은 정보들이 저장되어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이 DB에 접근하면 안됩니다. API 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허용된 사람들에게 접근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원할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폰의 어플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입니다
- API는 모든 접속을 표준화해준다 API는 모든 접속을 표준화하기 때문에 누구나 상관없이 동일한 액세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API의 유형
- private API 내부 API로써 회사의 개발자가 자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발행한다. 따라서 제 3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 public API 누구나 제한없이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artner API 기업이 데이터 공유에 동의하는 특정인들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관계에서 사용되는 편이며, 종종 파트너 회사 간에 소프트웨어를 통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오픈 API
현재 다양한 기업에서 오픈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개인 개발자의 학습에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2. REST
REST란 월드 와이드 웹(WWW)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입니다
- REST 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 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있다.
- 자원의 표현
-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 자원의 표현 :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상태(정보) 전달
-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를 전달한다
- JSON 혹은 XM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HTTP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 즉, REST 는 자원 기반의 구조설계의 중심에 Resource가 있고 HTTP Method를 통해 Resource 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아키텍쳐를 의미한다
- 웹 사이트의 이미지, 텍스트, DB 내용등의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 인 HTTP URI를 부여한다
REST 의 장단점
장점
- HTTP 프로토콜의 인프라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인프라 구성이 필요가 없다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REST API 메세지가 의도하는 바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의도하는 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게 된다
단점
-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 HTTP Method 형태가 제한적이다
- Header 의 값을 알아야 한다.
▶ REST 특징
Server-Client
- 자원이 있는 쪽이 Server, 자원을 요청하는 쪽이 Client가 된다
- REST Server : API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로직 처리 및 저장을 책임진다.
- Client : 사용자 인증이나 context 등을 직접 관리하고 책임진다.
- 서로 간 의존성이 줄어든다.
Stateless
-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 Protocol이므로 REST 역시 무상태성을 갖는다
- Client의 context를 Server에 저장하지 않는다.
- 즉 세션과 쿠키와 같은 context 정보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구현이 단순해진다.
- Server는 각각의 요청을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고 처리한다.
- 각 API 서버는 Clinet 의 요청만을 단순 처리한다.
- 즉, 이전 요청이 다음 요청의 처리에 연관되어서는 안된다.
- 물론 이전 요청이 DB를 수정하여 DB에 의해 바뀌는 것은 허용한다.
- Server의 처리 방식에 일관성을 부여하고 부담이 줄어들면서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Cacheable
- 웹 표준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 즉, HTTP 가 가진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인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 태그나 E-Tag 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하다
- 대량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캐시가 요구된다
- 캐시 사용을 통해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REST Server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응답시간, 성능, 서버의 자원 이용률을 향상 시킬수 있다.
Layered System(계층화)
- Client는 REST API Server만 호출한다
- REST Server 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 API Server 는 순수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앞단에 보안, 로드밸런싱, 암호화, 사용자 인증 등을 추가혀어 구조상의 유연성을 줄 수 있다.
- 또한 로드 밸런싱, 공유 캐시 등을 통해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Code-On-Demand(optional)
- Server로부터 스크립트를 받아서 Client에서 실행한다.
Uniform Interface
- URI로 지정한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한다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수 있다
▶ REST API
REST API 이란?
- 간단하다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하는 것이다.
특징
- 사내 시스템들도 REST 기반으로 시스템을 분산해서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높여 유지보수 및 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 REST 는 HTTP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하므로, HTTP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언어로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현할 수 있다
▶ RESTful
RESTful 이란?
- RESTful은 일반적으로 REST라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 REST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 하다 라고 할수있다
- RESTful은 누군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언어가 아니다
- REST원리를 따르고 있는 시스템을 RESTful 한 시스템이다 라고 하는것이다
목적
-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우 REST API를 만드는것
- RESTful API를 구현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성능 향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관적인 컨벤션을 통한 API의 이해도 및 호환성을 높이는것이 주 동기이다. 성능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굳이 RESTful API를 구현할 필요는 없다
Reference
https://blog.wishket.com/api란-쉽게-설명-그린클라이언트/
API란? 비개발자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wishket
여러분은 API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자주 듣지만 그 개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기 쉽지 않은데요. 이번 시간 위시켓이 API란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blog.wishket.com
https://hahahoho5915.tistory.com/54
[간단정리] REST, REST API, RESTful 특징
개요 REST, REST API, RESTful 특징 알아보기 REST REST 정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
hahahoho5915.tistory.com
'CS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CP 와 UDP의 차이 (0) | 2023.09.16 |
---|---|
🖥 TCP 혼잡 제어(AIMD, Slow Start, Fast Recovery, Fast Retransmit) (1) | 2023.09.16 |
🖥TCP의 흐름제어, 오류제어(Stop-And-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0) | 2023.09.16 |
🖥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0) | 2023.09.15 |
🖥 CORS (0) | 2023.08.02 |